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red hat mysql
- linux java설치
- linux db설치
- linux dump
- NULL
- 패킷
- red hat java설치
- Java정규표현식
- red hat linux mysql
- linux 데이터베이스
- Linux
- fullcalenda 일정수정
- restapi란?
- Java
- fullcalenda 등록
- linux mysql설치
- 정규표현식
- fullcalenda 일정추가
- fullcalenda
- TCP
- red hat db
- fullcalenda 수정
- IP
- fullcalenda 사용법
- fullcalenda 캘린더
- linux dump하는법
- select
- fullcalenda 추가
- fullcalenda 일정
- restapi ajax
Archives
- Today
- Total
어느 비전공자의 개발일지
파이썬 공부 튜플이란? 튜플사용법 본문
튜플(tuple)
- 파이썬의 자료형중의 하나
- 튜플 의 모양 ex ) t1 = ()
( 소괄호 " ( , )"를 이용해서 튜플을 만들 수 있음)
리스트는 = [ , ]
튜플은 = ( , )
튜플의 특징
- "값이 변하지 않음"
- 내부의 값을 변경할 수 없음
- 내부의 값을 삭제할 수 없음
튜플 인덱스 index값 접근
t1 = ( 1, 2, 3, 4 )
print( f't1[0]' : {t1[0]}')
print( f't1[1]' : {t1[1]}')
print( f't1[2]' : {t1[2]}')
print( f't1[3]' : {t1[3]}')
=> t1[0] : 1
=> t1[1] : 2
=> t1[2] : 3
=> t1[3] : 4
튜플의 길이
t1 = ( 1, 2, 3, 4 )
t2 = ()
print( f'len(t1)' : {len(t1)}')
print( f'len(t2)' : {len(t2)}')
=> len(t1) : 4
=> len(t2) : 0
튜플 더하기
t1 = ( 1, 2, 3, 4 )
t2 = ()
res1 = a + b
print(f'a + b = {res1}')
=> a + b = ( 1, 2, 3, 4 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