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restapi ajax
- Java
- linux db설치
- Java정규표현식
- NULL
- 패킷
- linux dump
- fullcalenda 캘린더
- fullcalenda 등록
- linux 데이터베이스
- fullcalenda 일정추가
- IP
- restapi란?
- fullcalenda 일정
- linux dump하는법
- fullcalenda 사용법
- fullcalenda 추가
- select
- fullcalenda 일정수정
- 정규표현식
- red hat linux mysql
- linux mysql설치
- Linux
- red hat mysql
- TCP
- 비밀번호변경로직
- fullcalenda 수정
- red hat db
- java비밀번호
- fullcalenda
- Today
- Total
목록백엔드 개발자 (49)
무마니

튜플(tuple) - 파이썬의 자료형중의 하나 - 튜플 의 모양 ex ) t1 = () ( 소괄호 " ( , )"를 이용해서 튜플을 만들 수 있음) 리스트는 = [ , ] 튜플은 = ( , ) 튜플의 특징 - "값이 변하지 않음" - 내부의 값을 변경할 수 없음 - 내부의 값을 삭제할 수 없음 튜플 인덱스 index값 접근 t1 = ( 1, 2, 3, 4 ) print( f't1[0]' : {t1[0]}') print( f't1[1]' : {t1[1]}') print( f't1[2]' : {t1[2]}') print( f't1[3]' : {t1[3]}') => t1[0] : 1 => t1[1] : 2 => t1[2] : 3 => t1[3] : 4 튜플의 길이 t1 = ( 1, 2, 3, 4 ) t2 = ..

1) 운영체제의 핵심이다. 2) 컴퓨터 부팅시 부트로더에 의해 로드되어 항상 메모리에 상주 3) 입출력을 관리 4)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요청을 컴퓨터에 있는 하드웨어가 처리 할 수 있도록 요청을 변환 하는 역할 = 커널 1) 사용자와 운영체제간에 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어 해석기 2) 운영체제 가장 높은층에 위치,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거나 정보를 표시 3) 해석을 담당,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한다. = 쉘

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를 한곳에 모은 저장소를 만들고, 그 저장소에 여러 사용자가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- 데이터 중복 최소화 - 데이터 일관성 유지, 무경설,보안성 유지 - 데이터 표준화 적용 가능 , 저장 공간 공유로 인한 절약 DBMS 용여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속성(차수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차수 : 4 (가로) 카디널 리터 : 2 (세로)

ex ) SELECT A ,B ,C FROM APPLE GROUP BY A; sql_mode=only_full_group_by 에러 해결방안 SELECT A ,ANY_VALUE(B) ,ANY_VALUE(C) FROM APPLE GROUP BY A; -> ANY_VALUE 로 감싸준다. ANY_VALUE 함수 ANY_VALUE 함수는 입력 표현식 값에서 비결정적으로 값을 반환합니다. 이 함수는 입력 식이 반환되는 행이 없거나 NULL 값을 포함하는 경우 NULL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 참고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edshift/latest/dg/r_ANY_VALUE.html

숫자만 : ^[0-9]*$ 영문자만 : ^[a-zA-Z]*$ 한글만 : ^[가-힣]*$ 영어 & 숫자만 : ^[a-zA-Z0-9]*$ E-Mail : ^[a-zA-Z0-9]+@[a-zA-Z0-9]+$ 휴대폰 : ^01(?:0|1|[6-9]) - (?:\d{3}|\d{4}) - \d{4}$ 일반전화 : ^\d{2,3} - \d{3,4} - \d{4}$ 주민등록번호 : \d{6} \- [1-4]\d{6} IP 주소 : ([0-9]{1,3}) \. ([0-9]{1,3}) \. ([0-9]{1,3}) \. ([0-9]{1,3})